카테고리 없음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원인 / 로컬라이저

kmdh 2025. 1. 6. 23:47
728x90

.

.

.

 

2024년 12월 29일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가 일어났다.

 

탑승자 181명 중 승무원 2명 부상, 179명 사망하는 대참사였다.

 

 

인터넷뉴스 페이지 일면에는 조류충돌로 인한 사고라는 점이 부각되었지만

 

그 외의 원인과 의문점을 기록하고자 한다.

 

 

1. 조류 충돌

 

철새도래지에서 조류와 충돌하여 엔진 한쪽이 파손되었다.

 

기체의 중심을 잡는 모습, 방향을 튼 모습을 보면 2개의 엔진 모두가 파손된 것이 아닌

 

1개의 엔진만 파손된 것으로 보인다.

 

어찌되었든 엔진 파손으로 인해 기체는 비상상태라는 알람이 지속적으로 울렸을 것이고,

 

이로 인해 비상착륙을 해야겠다는 판단의 근거가 되었을 수 있다.

 

 

Q. 지나친 비행 일정으로 기장에게 피로감이 쌓여있진 않았을까?

 

 

 

 

2. 랜딩기어

 

엔진부 고장의 연쇄작용이었는지, 수동장치 마저 고장이었는지,

 

랜딩기어 미작동으로 착륙 시 기체의 속력이 줄지 않았다.

 

 

Q. 조류충돌로 인한 엔진의 고장으로 미작동 했을까?

 

Q. 정비작업 시 수동장치는 점검되지 않은 걸까?

 

 

 

 

3. 반대방향 착륙

 

조류충돌 직후 기장은 메이데이를 선언하였고 1차 착륙을 포기하였다.

 

이후 관제탑은 2차 착륙을 허가하였고

 

기체는 방향을 180도 바꿔서 원래 착륙하려는 방향과 반대인 방향으로 착륙을 시도하였다.

 

 

이로 인해 다음에 나올 4번 로컬라이저 지지대가 무엇으로 시공되었는지가 중요하게 버렸다.

 

 

Q. 관제탑은 반대방향 로컬라이저 지지대의 존재를 모르고 착륙을 허가했을까?

 

    지지대의 존재를 알았다면 반대방향 착륙을 불허한다는 내용은 전달했어야 했고, 몰랐다면 그것도 문제다.

 

 

 

4. 로컬라이저 지지대

 

로컬라이저는 기체의 정확한 착륙을 위해 등대 혹은 나침반 역할을 하는 기준대인데,

 

국토부 공항설계세부지침에 의하면 로컬라이저의 지지대는 부서지기 쉬운 구조물이어야 한다.

 

 

하지만 무안공항은 로컬라이저 지지대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였고

 

기체는 그 콘크리트 구조물과 충돌하였다.

 

 

충돌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였고 연료에 옮겨붙어 결국 폭발하였다.

 

 

Q. 왜 무안공항은 지지대를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였을까?

 

     설계자, 감리자, 허가권자는 어떤 의견이었을까?

 

사진 : 인천공항의 로컬라이저

 

.

.

.

 

아무리 안타까워 한다고 해도 이미 일어난 사고가 되돌려지지는 않는다.

 

다만, 우리는 생각을 하는 인간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일이 앞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할 것이다.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

.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