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74

네트망 화분

. . . 다이소 네트망에 걸 수 있는 화분바구니 준비물 : 네트망, 네트망바구니, 부직포(8절 사이즈) 0. 부직포 화분은 통풍에 유리하고 방한에 불리하다. 실내에서 키울 용도라면 방한은 고려대상이 아니므로 통풍이 잘 된다는 점은 상당한 장점이다. 대부분의 플라스틱 화분은 통풍되는 부분이 오직 흙이 노출된 윗부분과 물빠짐을 위한 바닥면 일부가 전부이기 때문에 과습으로 말라죽는 경우가 많은 데 비해, 부직포 화분은 모든 면에서 통풍이 이뤄지므로 토분과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게다가 가볍고 저렴하다는 무시무시한 장점도 있어 만들어보기로 했다. 1. 네트망과 바구니, 부직포의 색상은 되도록 통일하여 준비한다. 다이소에 마침 갈색 네트망이 있어 그 색상으로 통일했다. 부직포는 8절 사이즈면 화분 1개를 ..

사부작 2023.02.05

유용한 사이트 / 실시간 건축인허가 현황 조회

. . . 건축인허가 현황을 지도와 함께 확인가능한 사이트. 굉장히 유용한 사이트이나, 많이 알려지지 않아 공유함. 개발사업지 인근의 유사한 사업지 인허가 상황을 확인하고자 할 때 유용함. 건축인허가 진행 중인 사업지의 면적 및 용도, 인허가 진행상황, 준공일, 소유자 이름의 앞 글자 정도 알고 싶을 때 편리함. ▶무엇보다 지도와 함께 확인 가능하다는 점이 직관적이어서 효율적임. 에어빌 - 실시간 건축 현황 (airvil.com) 에어빌 - 실시간 건축인허가 현황 빅데이터 가공,건축인허가 지도,허가,착공,승인,공공정보,토지소유,공시지가,토지이용계획,전문가 및 정제 데이터로 고객을 찾아드립니다. www.airvil.com ▶지도와 연동되어 주소 입력한 후 해당 필지를 선택하면 건축인허가 현황을 조회할 수 ..

시행 2023.02.03

지반조사 보고서 절차 순서 및 일정

. . . 지반조사 순서 1. 시추위치 선정(지안평, 토목설계사) → 2. 현장답사, 진입로위치선정 → 3. 산지일시점용허가/신고 → 굴착행위신고 → 진입로 시공 → 시추조사, 현장시험, 실내시험 → 지반조사 보고서 작성 1차 지반조사 : 3공, 옹벽 및 사면 부분 1주차 - 현장답사 및 진입로 확인(2일) - 굴착행위 신고(5일) - 산지일시점용허가 또는 신고 2주차 - 진입로 작업(1~3일) - 시추 작업(1~2공/일) - 현장시험(수리시험, 재하시험) 3~4주차 - 실내시험(12일, 토성물성, 암석시험) - 현장시험(수리시험, 물리탐사) - 현장시험 분석 및 자료 처리 - 보고서 작성(3일) 2차 지반조사 : 12공, 건물코어 부분 1주차 - (부지정리 이후) 현장 답사, 굴착행위 신고(5일) 2주..

시행 2023.01.26

인허가 절차 중 대지면적, 대지경계선 변동 시 체크사항(용인시 물류센터 기준)

. . . 인허가 절차 중 대지면적, 대지경계선 변동 시 체크사항(용인시 물류센터 기준) 1. 개발행위허가 완료 이후 - 개발행위 총 면적이 10% 미만으로 변경 시 재심의 대상이 아니며, 주무부서 협의사항 - 개발행위허가 경미한 변경 기준은 부지면적 또는 연면적 5% 축소 시, 건축부분 위치 변경 1미터 이내, 높이 1미터 이하이거나 전체높이의 10분의 1 이하일 것 - 건축연면적 증가는 재심의 대상 제외(2018.5월 기사,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417619 ) 2. 건축심의 완료 이후 - 재심의 대상이 아닐 경우 건축과 협의 후 건축허가 절차 이행 - 재심의 대상일 경우 심의를 다시 받아야 하므로 인허가기간 연장 따라서, 건축심의 이후 대..

시행 2023.01.26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 . . 부동산플래닛 https://www.bdsplanet.com/map/realprice_map.ytp 부동산의 모든 것을 담다, 부동산플래닛 전국 모든 토지, 건물(빌딩), 아파트, 연립/빌라, 주택, 상가, 사무실 실거래가와 매물정보를 한번에! 부동산 거래의 시작과 끝! www.bdsplanet.com 부동산 실거래가 조회 가능 매물 위치는 색상 있는 점으로 표현, 색상은 건축물 용도를 의미. 토지별 추정가격 안내 아파트 전월세 예측물량 안내 . . .

시행 2023.01.25

신탁 : 담보신탁, 관리형 토지신탁, 차입형 토지신탁(개발신탁)

. . . 개발사업의 안정성을 위해 프로젝트의 주요 자산(토지, 건물 등)을 신탁한다. 시행사의 채권자가 강제 집행할 수 없고 시행사가 파산하더라도 보호될 수 있기 때문에 하는 것이며, 주로 담보신탁과 관리형 토지신탁의 방법으로 한다. 토지를 담보신탁한 경우, 건물과 사업권, 분양대금 채권 등의 자산이 여전히 시행사의 재산으로 남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이러한 이유로 관리형 토지신탁으로 위험을 근본적으로 회피하는 경우가 많다. 관리형 토지신탁이란 신탁사가 사업의 주체가 되어 프로젝트를 시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관리형 토지신탁에서 표면적인 사업주체만 수탁자인 신탁사의 명의인 것이고, 실질적인 시행업무는 모두 위탁자인 시행사가 담당하게 된다. 자금은 있으나 개발여력이 부족한 시행사의 경우 신탁사에 개발신탁(..

시행 2023.01.15

건축설계 사업성검토 엑셀

. . . 건축주로부터 특정부지에 대한 사업성검토 요청이 들어오는 것으로 사업성검토 업무는 시작된다. 설계사는 토지이용계획을 확인하고 관계법령 항목들을 체크한 후 건축 가능한 규모를 산정한다. 1. 토지이용계획 확인 https://www.eum.go.kr/web/ar/lu/luLandDet.jsp 토지이음 이음지도, 용어사전, 질의회신사례, 규제법령집, 주민의견청취 공람, 도시계획통계 제공 www.eum.go.kr 지도 상에서 토지이용계획을 확인하고 싶다면 ▶ 이음지도 확인 https://www.eum.go.kr/web/mp/mpMapDet.jsp 토지이음 www.eum.go.kr 2. 관계법령 체크 법제처 확인 : 건축법 시행령 등 https://law.go.kr/ 국가법령정보센터 1 2 3 4 5 6..

설계 2022.12.29

정비구역에서의 인허가, 건축심의, 교통영향평가, 사업시행계획인가

※ 본 게시글은 도시정비법의 토지등소유자 방식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약칭:도시정비법)에 근거합니다. https://law.go.kr/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B%8F%84%EC%8B%9C%EC%A0%95%EB%B9%84%EB%B2%95#undefined 국가법령정보센터 화면 글자크게 글자기본 글자작게 검색영역 마우스 입력기 한글 1 2 3 4 5 6 7 8 9 0 Bksp ㅂ ㅈ ㄷ ㄱ ㅅ ㅛ ㅕ ㅑ ㅐ ㅔ Shift ㅁ ㄴ ㅇ ㄹ ㅎ ㅗ ㅓ ㅏ ㅣ ㅋ ㅌ ㅊ ㅍ ㅠ ㅜ ㅡ 띄어쓰기 검색 ! @ # $ % ^ & * law.go.kr 토지매입부터 정비계획변경,..

시행 2022.12.13

공동주택 단위세대 유닛 설계, 모듈치수, LH매뉴얼

. . . 공동주택 아파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단위세대, 유닛 설계이다. 보통 참고사례에 있는 단위세대 평면도를 기반으로 주동조합에 맞춰 조정하거나 계획개념에 맞는 방향으로 조정하여 계획한다. 주동조합에 맞추는 경우는 2호 조합이냐, 4호 조합이냐에 따른 출입구와 화장실 조정, 채광거리 조정으로 인한 채광면 조정이 될 수 있고, 계획개념에 따라 3베이, 4베이, 5베이 계획, 알파룸 위치, 테라스 유무, 지하층 전용공간을 고려하는 등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단위세대 조정 할 때 모듈치수를 고려해야 한다. 이것은 법적인 규제사항이다. 침실이나 거실은 1M(100mm) 단위로 맞춰야 하고 주방은 2/M, 4/M, 5/M 등으로 맞춰야 한다. 침실이나 거실은 통상적으로 100mm 단위로 맞추지만 주방은 그렇..

설계 2022.12.11

전용면적, 공용면적, 계약면적

. . . 부동산 관련 계약은 보통 계약면적을 기준으로 한다. 계약면적은 전용면적, 공용면적, 기타공용면적, 주차장면적으로 구성된다. 1)전용면적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고유의 공간이다. 보통 벽체와 출입문으로 경계되는 만큼을 말한다. 공동주택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타입을 정한다. 예를 들어, 84타입이라 함은 전용면적이 84.xx제곱미터인 주거형을 뜻한다. 이를 기준으로 59타입, 84타입 등으로 나뉘게 되며, 타 세대와 공동으로 사용하게 되는 공간을 이 전용면적의 비율로 나누어 배분하게 된다. 즉, 전용면적은 자산의 가치를 기준하는 척도가 된다. 공동주택이 아닌 일반건축물, 특히 오피스를 예로 들면, 엘리베이터홀~화장실~피난계단까지 통행할 수 있도록 복도폭을 제외한 공간만큼을 전용면적으로 산정할 수 있다..

설계 2022.12.11